Wannabe IT Geek(22)
-
2020.11.03 [TIL] array.every()
Array내의 모든 element를 검사하여, 콜백함수로 주어지는 기준에 충족하면 true, 단 하나라도 충족되지 못하면 false를 리턴. 불리언 값으로 리턴된다. 대충 MDN의 예제를 참고하자. MDN DOC
2021.03.20 -
2020.11.01 [TIL] Hash Table
1. Hash Table, 해시 테이블이란? 해시테이블 혹은 해시 맵이라고 부르며 연관배열 구조를 이용하여 키(key)에 결과 값(value)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연관배열 구조 = 키와 값이 1:1로 연관되어져 있는 구조. 키를 저장할 때 해시 함수라는 함수를 통해 특정 숫자값의 인덱스로 변환되며, 여기에 값을 매칭하여 저장소에 저장함. 해시 테이블은 고정된 크기의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후 필요에 의해 메모리 크기를 늘릴 수 있으나, 최소한의 크기를 유지함. 객체가 나오기 전에 배열을 순서가 아니라 의미를 기준으로 키, 값의 쌍으로 저장하기 위해서 쓰이기 시작했다고 함. 2. 구조를 도식화하면, 그러나 키에 따른 해시 함수에 따른 해시값이 같게 도출 될 수 있고, 이런 경우를 충돌(collis..
2021.03.20 -
2020.10.29 {TIL} Subclassing & Super 사용법
Subclassing의 방법 중에 ES6에서 나오는 방법 중 Super 자바스크립트는 원래 Class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ECMAScript 2015에서 본격적으로 ES6를 소개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prototype을 사용하던 기존보다 좀 더 심플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ss Human{ constructor(name){ this.name = name; } introduce(){ return `my name is ${this.name}` } } 위와 같은 코드로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 그런데 다른 클래스가 위의 Human 클래스의 상속을 받고 싶다면, 이전에는 xxx.prototype = Object.create(yyy.prototype) 등으로 작성하였으나, 이제는 아주 간..
2021.03.20 -
2020.10.28. {TIL} OOP,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오늘은 주제가 객체지향프로그래밍, 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라서 앞에 브라켓을 curly로 넣어봤다... 헷...(늘 평소와 같이 의미없는 말..) Cominciamo 이전에 블로그에서 언급했듯이 객체라고 하면 나에겐 아직도 {}보다도, Object보다도 플라톤과 아테네학당이 먼저다. 그런데 익숙해지면 아는 것이 된다는 말,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아르키메데스처럼 유레카를 외치게 된다는 말에 따라, 이제는 OOP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익숙해지는 것 같다. 다 이해는 못했지만, 그래도 이해한대로(?) 적어보려고 한다. 틀린 게 있으면 언제든 댓글로! 1. 정의 객체지향프로그래밍, Object-Oriented Programming은 일종의 프로그래밍을 하는 방법/방법론을 의미한다..
2021.03.20